대기오염방지시설사업실적보기
◎ 여과집진시설 Bag Filter Dust Collector System
▷개요
각종 입자상물질이나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 입자를 여과섬유 사이로 통과할때 분진입자는 그 크기(입경이나 질량)와 운동량(속도) 등에 따라 여재를 구성하는 섬유와 관성충돌, 직접차단, 확산, 정전기적인 인력, 중력 등 작용에 의해 배출가스 흐름으로 부터 분리, 포집되는 원리이다.

▷ 특징
- 여과방식에는 여과재 표면에 먼지를 붙이는 표면여과방식과 유리섬유, 면섬유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 즉 백필터(Bag Filter)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방식이 있다.
- 처음에는 여과재의 여과작용에 의해서만 분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과재의 표면에 먼지층이 여과재의 구멍을 메워 더욱 촘촘하게 되므로 제거효율이 높아진다.
- 보통 먼지의 크기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99% 이상의 효율을 나타낸다.
- 함진공기를 하부 또는 미세입자까지 완전히 제진되며 널리 쉽게 사용된다.
- 원신력 시설보다 제작비가 비싸고 수분에 약하며 고온에는 이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제진에 거의 완벽한 시설이므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 장, 단점
[장점]
- 미립자의 제거가 가능하다.
- 집진율이 우수하다.
- 다양한 여과재의 사용으로 설계시 융통성이 있다.

[단점]
- 폭발성, 점착성 및 흡습성 분진의 제거가 곤란하다.
- 가스의 온도에 따른 여재의 사용이 제한된다. (250℃ 이상은 곤란)

▷ 적용분야
- 광물, 목재, 시멘트, 화학, 의약품, 플라스틱, 식품, 사료, 제분, 비료, 공장, 페인트, 기타 입자상 물질 배출업소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