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방지시설사업실적보기
◎ 생물학적처리시설 Biological treatment system
▷ 개요
오· 폐수처리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호기성 조건하에서 유기물을 기질로 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킴으로서 미생물의 호흡 및 합성과정 을 통해 폐수내의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에 이용되는 미생물에는 원생동물, 조류, 박테리아 등이 있다.

▷ 특징
1. 표준활성슬러지법
폭기조에서 용존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섭취 분해되고 성장한 미생물은 최종 침전지에서 응결 침전되어 활성 슬러지로서 폭기조로 일부 반송되며 일부는 폐슬러지가 된다. 또한 최종 침전지의 깨끗한 상등액이 처리장의 유출수가 된다. 이 시스템의 주요 장치는 산소공급장치를 가진 생물학적 반응조인 폭기조, 고액분리 장치인 최종침전조, 그리고 반송슬러지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2. 장기폭기법
폭기조에서 활성슬러지가 자기세포질을 대폭적으로 산화 감소시키는 세포의 내생 호흡기에서 유기물질이 제거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SRT는 15일 이상, F/M비는 0.05 이하, MLSS는 4000mg/l 정도, 반송률 50-150%로 적용되고 폭기시간이 24시간 전후로서 잉여 슬러지의 최대한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3. 혐기성 소화법
유기물질의 농도가 매우 높은 폐수는 산소 이전의 제한 때문에 호기성으로 처리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폐수는 계획적으로 혐기성 반응에 의하여 처리된다. 혐기성 처리는 호기성에 비하여 긴 반응시간을 요하며 반응이 불안전하여 유기물질의 제거율이 다소 낮은 단점이 있지만 고농도의 유기물질을 처리할 수 있고 산소공급이 불필요하며 반응부산물로 가연성 기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혐기성 처리는 분뇨, 폐수슬러지 및 유기물 농도가 높은 공장 폐수의 최초 처리에 주로 이용 된다.

4. 산화지법
수심이 얕은 곳에서 일어나는 자연의 생물학적 과정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안정화, 즉 처리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연못을 안정지, 늪 혹은 산화지라고 한다. 산화지내 박테리아가 유기물을 섭취 분해하여 질소와 인 성분의 영양소와 CO2를 물속에 버리면 조류는 이들 화합물과 햇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여 산소를 만들고 다시 이 산소는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섭취된다. 이들 관계를 공생이라 하며 이러한 순환이 계속해서 처리되는 것이 산화지 처리 원리이다.

▷ 장, 단점
장점
- 대용량 규모의 폐수처리
- 비교적 안정된 처리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단점
- 잉여오니 과다
- 유량 및 수질 변동에 취약
- 운영관리 기술이 요구된다.

▷ 적용분야
- 식품 및 농수산물가공폐수, 음료, 섬유, 피혁, 각종 유기성 폐수
- BOD가 높은 물리화학적 처리시설의 제2차 처리
- 하수처리분야 : 하수종말처리시설, 개인하수처리시설, 막결합형 단독 정화조
- 폐수처리분야 : 유기성 폐수처리시설, 축산, 분뇨처리시설, 공업용 폐수처리시설
- 재이용분야 :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 중수도 처리시설, 빗물 재이용시설